분석하였을때, swipe과 tap은 분석이 되었으나, 다중 터치에 대해서는 언급이 되어 있지 않았다.
다중 터치를 처리 하기 위해선 먼저 터치가 시작되었다는 정보를 보내야된다.
0003 0039 로 터치가 시작되었다는 정보가 일어난 후에
tap이나 swipe과 동일하게, 작업을 하는데, 차이점은
0003 002f 00000000이라는 정보가 종료 지점에서 넣게 된다는 점이다.
이것은 다중 터치에서 일어난다.
예을 들어서 다음과 같게 된다.
0003 002f 00000000
0003 0039 00000001
0003 0035 0000000f
0003 0036 00000001
0003 0030 00000002
0003 003a 00000002
0000 0000 00000000
이렇게가 바로 하나의 터치 인식이라는 것이다.
여기서 다음 터치를 넣기 위해선
0003 002f 00000001
0003 0039 00000001
0003 0035 0000000f
0003 0036 00000001
0003 0030 00000002
0003 003a 00000002
0000 0000 00000000
이런식으로 인식이 된다는 점이다.
간단하게 말해서
002f는 터치의 갯수이고, 0039는 터치의 횟수, 0035 : X축, 0036 : Y축가 되는 것이다.
'Android Debuger - 분석 및 프로그래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ADB을 WIFI로 연결하기 -Buffalo N300에서의 문제점 포함- (0) | 2015.09.08 |
---|---|
안드로이드 자동화 14 -Event을 적용한 Swipe 사용(Win32)- (0) | 2015.06.21 |
안드로이드 자동화 13 -Event 분석 Touch- (0) | 2015.06.21 |
안드로이드 자동화 12 -WIn32 적용- (0) | 2015.06.20 |
안드로이드 자동화 11 -ADB로 이벤트 받아내기 getevent- (0) | 2015.06.19 |